티스토리 뷰
iPhone에 제작한 앱을 설치하고 디버깅,테스트 할 수 있다.(개발자 등록을 해야만 가능하다)
설치과정
-개발 인증서 발급받기
-개발에 사용할 장비(iPhone,iPod Touch) 등록하기
-어플리케이션 ID 생성하기
-개발 프로비전 프로필 생성하기
-프로젝트에 프로비전 설정하기
개발프로비전 다운받기 위해서는 http://developer.apple.com/iphone/manage/overview/index.action 포털에서 왼쪽 메뉴 순서대로 이루어진다.
개발인증서 발급
개발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인증서 서명 요청서인 CSR(Certificate Signing Request)을 먼저 생성해야 한다
CSR 생성
맥 OS에서 키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(응용프로그램>유틸리티>키체인접근)
인증기관에서 인증서 요청 메뉴를 선택한다.
이메일 주소와 이름을 입력하고 위와 같이 요청메뉴를 선택 한 후에 계속을 누른다
(이멜주소와 이름은 아이폰개발자 사이트에 가입했을 때 입력한 것과 일치해야함)
위와 같이 키 크기,알고리즘을 선택한 후에 계속을 누르면 CSR을 저장할 위치를 묻는 팝업창이 뜬다
원하는 위치를 선택하고 진행하면 파일이 그 위치에 생성된다.
CSR이 생성되었으면 http://developer.apple.com/iphone/manage/overview/index.action 이곳으로 이동하여 Certificates 메뉴>Development탭에서 맨 하단의 ChooseFile 버튼을 클릭하여 내 맥에 생성하였던 CSR을 선택하고 Submit을 누른다.
인증서가 발급되었으니 다운로드한다.
다운로드한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하면 키체인접근 프로그램이 새 인증서를 추가할지를 묻는다.
승인을 누르면 인증서가 추가된다.
개발 인증서가 설치된 모습
개발에 사용할 장비 등록
개발에 사용할 아이폰을 등록한다 포털의 Divices 메뉴>Manage탭에서 Add Devices 버튼을 클릭한다.
Add Devices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Device Name- 자신이 원하는 장비 이름을 기재한다.
Device ID - 내 아이폰의 UDID를 기재한다. (iTunes에서 확인 할 수 있음)
iTunse에서 Device ID를 확인할 수 있다.
일련번호를 클릭하면 UDID가 나타남
Command +C로 복사해서 포털 Device ID란에 Command+V로 붙힐 수 있다.
어플리케이션 ID 생성하기
포털 App IDs 메뉴> Manage 텝에서 New App ID 버튼을 클릭해서 생성할 수 있다
App ID는 Y6932T46YX.com.nitrofactory.HyperJump 이렇게 생성된다.
Y6932T46YX- 번들 시드라고 하며 애플이 자동 생성한다.
com.nitrofactory.HyperJump -번들 구분자라고 하며 개발자가 직접 입력한다.(보통 대표하는 도메인을 역순으로 만든다)
Description - App ID 구분하기 위한 이름을 입력 Bundle Identifier - 번들 구분자 입력
Submit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App IDs를 생성된다.
개발 프로비젼 프로필 생성하기
포털 Provisioning 메뉴>Development탭 에서 New Profile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.
Profile Name 프로필 이름을 기재하고 인증서,App ID, 사용할 장치를 선택하고 Submit을 클릭한다.
클릭하면 프로비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(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다운받자)
다운받은 프로비젼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Xcode의 Organizer가 실행된다.
설치된 프로비젼을 선택 한 후에 왼쪽 사용할 장치에 끌어다 놓아서 장치에 프로비젼을 설치한다.
프로젝트에 프로비전 설정
인증서와 어플리케이션 ID를 아이폰에 설치된 프로비젼에 맞게 설정해서 프로젝트를 빌드해야만 아이폰에서 실행할 수 있다.
인증서 설정
프로젝트에서 Get Info메뉴를 선택한다(File메뉴의 Get Info 또는 Command +I)
Bulid 탭에서 다음과 같이 Code Signing > Any iPhone OS Device에서 프로비젼에 포함된 개발 인증서를 선택한다
App ID 설정
Info.pList 파일에서 Bundle identifier에 프로비전의 번들 구분자를 넣는다.
빌드 항목을 장치로 선택한 후에 빌드를 하면 내 아이폰에서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 볼 수가 있다
빌드항목에서 Simulator가 아닌 Device로 선택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꽤 복잡한 과정을 통해서 장치에 프로젝트를 실행해 볼 수가 있었다.
그냥 무작정 책보고 따라만 하게 되었는데 포스팅을 통해서 과정을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.
첫 어플이 내 iPod에서 작동되는 것을 보니.. 이제 다 왔구나 하는 느낌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다.. ^^
장치에서 돌려보니 시뮬에서는 경험하지 못한 버그들이... OTL
재실행했을때 뻗는 문제라던지 버튼이 잘 눌러지지 않는 문제 등등 ...
시뮬에서 어느정도 구현이 되었으면 틈틈히 장치에서도 디버깅을 해야한다.
'Apps 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ocos2D]CCTargetedTouchDelegate을 이용한 터치 이벤트 (0) | 2010.07.16 |
---|